Google Analytics(8)
-
[데이터분석] GA_전환(Conversion) 리포트
1. 목표 설정하기 - 비지니스의 목표가 설정을 해야지 운영사이트의 전략을 계획 할수 있습니다. - 사이트에 접속을 많이 한다고 매출이 증가 하는것은 아니다. - 사용자 재 방문(높은 전환율)을 하기 위해 사용자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퍼널(Funnel) 설계를 해야한다. ※ 퍼널(Funnel)이란 상위 이미지 와 같이 깔대기를 뜻하는 말이며, 데이터 분석 시 사용자가 유입되고 전환에 이르기 까지의 단계를 말한다. 2. 퍼널 목표설정 예시 - 쇼핑몰의 예시로 사용자의 기본적인 흐름을 파악해보자. 1단계 : 제품 리스트 www.test.com/shop/shopList 2단계 : 제품상세 www.test.com/shop/detail 3단계 : 결제정보 입력 www.test.com/shop/payment 4단..
2019.07.30 -
[데이터분석] GA_행동(Behavior) 리포트
1. 행동 흐름- 페이지 및 이벤트 기준으로 고객의 행동 흐름을 알수 있는 리포트이다.- 많은 페이지가 존재 하기에 콘텐츠 별로 그룹 활용- 행동의 시작점을 다양하게 선택 가능 합니다. ※ 상단 보기유형중 이벤트 유형으로 설정하였을 시 클릭 및 스크롤 이벤트를 설정 한 내용의 리포트 확인 가능 2. 사이트 콘텐츠 - 전체 사이트 페이별 기본 트래픽(페이지 뷰, 방문수, 이탈율 등)을 확인- 사이트 페이지의 URL로 표기 되기 때문에 사이트 제목으로 세팅을 해야지 분석 하는데 많은 도움이 있다. 3. 콘텐츠 그룹화관리 > 보기 > 콘텐츠 분류 메뉴를 선택한다. A : 콘텐츠 그룹의 이름을 설정합니다.B : 규칙을 사용하여 그룹을 설정하는 영역 url에 onsale 라는 단어를 포함할때 => 상세페이지 그룹..
2019.07.29 -
[데이터분석] GTM_추적코드 삽입하기 (페이지뷰)
GTM(구글 태그매니저)로 추적코드(Tracking Code)를 삽입하고 GA(구글 애널리틱스)로 관리 하는 방법을 알아 보도록 합니다. 보통 추적코드 삽입의 경우 운영중인 사이트를 코드 수정을 해야 하기에개발팀에 코드를 전달 하여 삽입 요청을 한다. 내가 알아야지 요청을 할수 있기에 어떻게 추적코드 삽입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 봅니다. 우선 추적코드를 삽입하기 위해 기본 HTML구조를 파악해야 합니다.HTML구조에서 Header영역, Body영역, Footer영역으로 나누어 지며,Header영역과 Body영역에 코드를 삽입합니다. 삽입하는 위치는 대략적으로 확인을 했습니다.그럼 좀더 자세히 GTM으로 추적 코드를 삽입 하는 부분에 대해서 정리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01. GTM 웹사이트 이동 (https..
2019.07.26 -
[데이터분석] GA_획득(Acquisition) 리포트
1. 개요 리포트- A : 인기채널 그래프 영역- B : 사용자가 얼만큼 사이트에 접속하였고, 그 사용자가 기대하는 효과를 보여주는 영역- C : 유입 채널별 어떠한 행동(획득, 동작, 전환)을 했는지 지표로 보여주는 영역 Other(기타) 채널은 GA에서 추적 못하는 데이터 이며,전환율이 가장 큰 비율로 측정됨, 정상적으로 유입되는 사용자인지 역 추적이 필요한 상황 2. 전체 트리픽 > 소스/매체소스의 개념은 유입된 사이트의 성격을 보여주는 데이터 이며,매체는 유입된 소스값들을 분류 하는 기준의 데이터이다.google(소스) / organic(매체) = 구글에서 왔고, 자연검색어 로 검색해서 왔어로 쉽게 생각 하면된다. ※ not set / not set의 데이터는 GA추적 코드가 추적할수 없는 데이터..
2019.07.25 -
[데이터분석] GA_ AABC분석
GA 데이터를 분석할때 많은 리포트가 있지만,이 많은 데이터를 어떤 틀을 잡고 분석을 해야지하는지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자! 리포트의 기본 구성을 AABC 로 기준을 잡고 분석을 할수 있다.그럼 AABC는 어떻게 것인가? A (Audience) : 잠재고객최근 사이트를 통해 들어온 사람은 몇명이 들어 왔는지 어떤 활동 트랜드를 보여주는지를 보여주는 리포트이다. 예를들어 쇼핑몰의 경우에는 구매주기를 파악할수 있다. A (Acquisition) : 획득분석하고 있는 사이트를 어떠한 경로로 어떻게 유입이 되었는지 분석하는 리포트 이며,GA 탭메뉴에서 획득 영역에서 해당 리포트를 수집할수 있습니다. B (Behavior) : 행동페이지 및 여러이벤트 중에서 사용자가 어떤 행동의 흐름을 파악할수 있는 리포트 이고..
2019.07.25 -
[분석] PDCA분석기법
어떻게 하면은 우리를 개선할것인가?? (프로세스 확립) PDCA란 무엇인까?Plan(계획) > DO(실행) > Check(평가 및 검토) > Act(개선) 의 4단계로더 좋은 서비스로 개선하기 위해 접근하는 방식이다.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 예시로 정리 해보기로 하자, Plan(계획) - 개선 해야 하는 상황을 계획하기- 개선을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문제 인식을 위한 자료수집, 수집된 자료 분석- 분석 시 정확한 데이터의 지표로 어느정도 상승 및 개선될것인지 명확한 수치 필요 Plan(계획) 예시 - 최근3개월 동안 사용자(User) 행동 흐름 분석하였을 시 메인Page에서 회원가입Page로 유입안되는것으로 파악- Page분석 하였을 시 회원가입을 유도 할수 있는 문구 및 로그인버튼이 노출이 안되어 있..
2019.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