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3)
-
[DBMS 정의] DBMS와 DataBase는 다르다.
실무 업무를 하다보면 DBMS와 DataBase를 썩어서 이야기는 하시는 분들이 많다보니 많이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 간단하게 정의 하고자 내용을 기록화 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DataBase는 저장소고, DBMS는 소프트웨어 이다!!! [DataBas 정의] DataBase는 줄여서 DB라고 하고, 한 마디로 정의 하면 "데이터의 집합" 이라고 한다. 데이터 베이스는 우리의 일상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져 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이미지의 카카오톡 메시지, 인터넷 쇼핑, 교통카드와 같이 정보는 모두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된다. [DBMS 정의] 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줄여서 DBMS라고 하며, 앞서 설명하였듯이 "데이터의 집합" 즉 DataBase 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소..
2023.04.30 -
[데이터 모델] 네트워크 및 계층 데이터 모델
데이터 베이스 구조가 이론화 되면서 여러가지의 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 (DBMS) 모델들이 나오기 시작하였으며,DBMS 모델별 정리 하였다. 1. 네트워크형 데이터 모델 (Network Data Model) 데이터 베이스 구조가 망 모형이며, 각 레코드(데이터 속성)가 여러 부모와 자식으로 구성, 하나의 일반화된 데이터 구조 (이미지 출처 - 위키백과) 2. 계층형 데이터 모델 (Hierarchical Data Model) - 데이터가 트리 형태의 구조로 조작된것으로 의미 하며, 이 구조는 반복적인 부모-자식 관계 정보를 표현한다. (이미지 출처 - 위키백과) 3. 관계형 데이터 모델 (Relatinonal Data Model) - 데이터들을 간단한 관계를 테이블화 시킨 매우 간단한 원칙의 전상정보 데..
2019.07.17 -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ADsP) 독학 으로 공부하기!!
에이전시의 웹 기획을 진행하였을 때 개인적으로 문제점이 보였으며, 에이전시 의 업무형태에 부족함을 많이 느꼈다.극단적으로 한때는 웹 기획이 왜 필요할까 까지 생각을 했으니... 정말 극단적이었다. 필자가 왜? 그럼 ADsP를 공부하게 되었는가? 업무 할 때 크게 3가지 의문점이 있었다 1. USER의 생각을 읽고 싶었다. - USER는 무엇을 원하는가? - USER는 어떤 생각을 하고 서비스를 이용하는가? - USER가 어떻게 더 쉽게 사용할 수 있을까? (개개인 취향이 있기에 더 사용하기 편한 케이스를 찾아야 한다.) 2. 기업과 서비스에 궁금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어떻게 계획을 해야 하는가? - 서비스 성격(쇼핑몰, 미디어, 여행사, 보험사 등)의 따른 계획을 잡았으나, 계획한 목표가 정확하게 ..
2019.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