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모델] 네트워크 및 계층 데이터 모델

2019. 7. 17. 16:15Google Analytics

데이터 베이스 구조가 이론화 되면서 여러가지의  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 (DBMS) 모델들이 나오기 시작하였으며,

DBMS 모델별 정리 하였다.



1. 네트워크형 데이터 모델  (Network Data Model)

   데이터 베이스 구조가 망 모형이며, 각 레코드(데이터 속성)가 여러 부모와 자식으로 구성, 하나의 일반화된 데이터 구조


(이미지 출처 - 위키백과)







2. 계층형 데이터  모델  (Hierarchical Data Model)

   - 데이터가 트리 형태의 구조로 조작된것으로 의미 하며, 이 구조는 반복적인 부모-자식 관계 정보를 표현한다.


(이미지 출처 - 위키백과)







3. 관계형 데이터  모델  (Relatinonal Data Model)

   - 데이터들을 간단한 관계를 테이블화 시킨 매우 간단한 원칙의 전상정보 데이터 베이스로 구성 되어 있다.

   - 관계형 데이터의 모델용어는 아래와 같이 정의 한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용어

설명 

테이블 (Table)

레이블 (Relation) 

   데이터를 2차원 테이블 보여지는 형태 

테이블 행(Row)

튜플 (Tuple) 

   하나의 항목을 대표하는 데이터 이며, 

   테이블에 행을 의미 한다.

테이블 열 (Column)

속성 (Attribute) 

   튜플 의 이름 요소 

      - 예시 : "사번", "이름", "주소"

도메인 (Domain) 

   속성의 기준으로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