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7. 19. 15:40ㆍGoogle Analytics
어떻게 하면은 우리를 개선할것인가?? (프로세스 확립)
PDCA란 무엇인까?
Plan(계획) > DO(실행) > Check(평가 및 검토) > Act(개선) 의 4단계로
더 좋은 서비스로 개선하기 위해 접근하는 방식이다.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 예시로 정리 해보기로 하자,
Plan(계획)
- 개선 해야 하는 상황을 계획하기
- 개선을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문제 인식을 위한 자료수집, 수집된 자료 분석
- 분석 시 정확한 데이터의 지표로 어느정도 상승 및 개선될것인지 명확한 수치 필요
Plan(계획) 예시
- 최근3개월 동안 사용자(User) 행동 흐름 분석하였을 시 메인Page에서 회원가입Page로 유입안되는것으로 파악
- Page분석 하였을 시 회원가입을 유도 할수 있는 문구 및 로그인버튼이 노출이 안되어 있음
- 버튼노출 되었을 시 목표지수(KPI)를 신규사용자 5% 상승 계획
↓
Do(실행)
- 개선 계획을 이행하는 단계
- 이행할때 진행중인 다른 이슈사항과 충돌하지 않도록 다른공정의 스케줄 파악
Do(실행) 예시
- 메인Page에 회원가입 버튼을 노출하였을 시 회원가입율 향상될수 있는지 A/B테스트 진행
↓
Check(평가 및 검토)
- Do단계가 마무리 되었으며, 결과에 대한 분석 및 검토
- A/B테스트 로 수집된 데이터로 기반으로성공여부 판단
- 얻은 정보를 타 부서와의 공유 프로세스 구축계획
Check(평가 및 검토) 예시
- 회원가입 버튼을 비노출 회원가입율 : 1.3%
- 회원가입 버튼을 노출 회원가입율 : 4.8%
- 버튼 비노출 하였을 시 보다 노출 하였을 시 3.5%증가
↓
Act(개선)
- Plan(계획) ~ Check(평가 및 검토) 단계에서 결과가 성공적 이였다면, Check단계에서 계획한 일정으로 진행
- 개선하고 나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 (정상적으로 계획대로 잘 이행 되고 있는지)
- 성공하지 못하였을 경우 다른 개선계획을 수정 하거나, 새로운 개선안을 도출해야 함
Act(개선) 예시
- 개선한 프로세스가 일시적인 효과인지 지속적인 효과인지는 체크가 필요
- 지속적인 모니터링 으로 인해 새로운 개선점 도출(Plan 부터 시작)
텍스트로만 확인 하였을 시 당연한거 아니야? 라고 생각 할수 있지만,
실제 프로젝트를 운영 하였을 때 PDCA의 4단계가 모두 이루어지기는 쉽지는 않다.
왜?? 무슨 이유인가?
필자가 업무를 진행하면서 느낀 몇가지 사항을 찾아보았다.
첫째 .목표가 정확히 설정이 안되어 있으며, 구성원 공유가 안된다.
(업무는 혼자 하는것이 아닌 팀이다!!)
둘째, 일만 벌려놓고 점검 및 검토를 안하고, 진행 업무를 중간 체크를 진행해야 하는데 안하는 경우도 생긴다.
셋째, 실패를 하였을 시 원인을 찾아야 하는데, 책임만 추궁하고 다음단계에 활용하지 않는다.
넷째. 업무방식에 문제점이 있음 에 불과 하고 구성원에게 압박만 준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가장 큰문제가 넷째가 아닌가 싶다.
지속적인 압박을 받으면 본인의 의식이 떨어지는거 같다.
스케줄 관리가 안되고, 스케줄관리가 안되면 구성원 눈치를 보게 되고, 눈치보게 되면은 공유가 안되고,
눈치보게 되면 책임 회피가 되고, 그러면 이러한 상황에서 또 압박을 받게 되고.... 악순환의 지속이다.
구성원들은 하나의 목표에 같이 올라가는 동반자로서,
내가 악순환을 만들고 있는지 한번쯤은 생각해 볼만하다.
'Google Analy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분석] GTM_추적코드 삽입하기 (페이지뷰) (0) | 2019.07.26 |
---|---|
[데이터분석] GA_획득(Acquisition) 리포트 (0) | 2019.07.25 |
[데이터분석] GA_ AABC분석 (0) | 2019.07.25 |
[데이터 모델] 네트워크 및 계층 데이터 모델 (0) | 2019.07.17 |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ADsP) 독학 으로 공부하기!! (0) | 2019.07.15 |